Baekjoon 3020 - 개똥벌레 (클릭 시 이동)
문제
개똥벌레 한 마리가 장애물(석순과 종유석)로 가득찬 동굴에 들어갔다. 동굴의 길이는 N미터이고, 높이는 H미터이다. (N은 짝수) 첫 번째 장애물은 항상 석순이고, 그 다음에는 종유석과 석순이 번갈아가면서 등장한다.
아래 그림은 길이가 14미터이고 높이가 5미터인 동굴이다. (예제 그림)
이 개똥벌레는 장애물을 피하지 않는다. 자신이 지나갈 구간을 정한 다음 일직선으로 지나가면서 만나는 모든 장애물을 파괴한다.
위의 그림에서 4번째 구간으로 개똥벌레가 날아간다면 파괴해야하는 장애물의 수는 총 여덟개이다. (4번째 구간은 길이가 3인 석순과 길이가 4인 석순의 중간지점을 말한다)
하지만, 첫 번째 구간이나 다섯 번째 구간으로 날아간다면 개똥벌레는 장애물 일곱개만 파괴하면 된다.
동굴의 크기와 높이, 모든 장애물의 크기가 주어진다. 이때, 개똥벌레가 파괴해야하는 장애물의 최솟값과 그러한 구간이 총 몇 개 있는지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
시간 제한 | 메모리 제한 | 제출 | 정답 | 맞은 사람 | 정답 비율 |
---|---|---|---|---|---|
1 초 | 128 MB | 9590 | 3885 | 2886 | 42.058% |
입력
첫째 줄에 N과 H가 주어진다. N은 항상 짝수이다. (2 ≤ N ≤ 200,000, 2 ≤ H ≤ 500,000)
다음 N개 줄에는 장애물의 크기가 순서대로 주어진다. 장애물의 크기는 H보다 작은 양수이다.
출력
첫째 줄에 개똥벌레가 파괴해야 하는 장애물의 최솟값과 그러한 구간의 수를 공백으로 구분하여 출력한다.
풀이
석순과 종유석의 크기별 갯수를 저장할 수 있는 배열을 만든다. int[H+1]
역순으로 구간합을 구한다.
만약 H가 5라고 가정했을 때,
1의 위치에서 개똥벌레가 날아간다면 만나는 석순의 갯수는 크기가 1,2,3,4,5인 석순의 갯수이기 때문이다.
개똥벌레가 h의 높이에서 날아갈 때 만나는 석순과 종유석의 갯수를 계산하여 저장한다. 이때 최솟값을 함께 구한다.
최솟값과 같은 값을 count한다.
과정
1. 석순과 종유석의 크기별 갯수를 저장할 수 있는 배열을 만든다. int[H+1]
ceil= new int[H+1]; // 종유석
floor = new int[H+1]; // 석순
for (int i = 0; i < N/2 ; i++) {
floor[Integer.parseInt(br.readLine())]++;
ceil[Integer.parseInt(br.readLine())]++;
}
배열을 선언하고 각 값에 해당하는 인덱스에 +1 해준다.
2. 역순으로 구간합을 구한다.
for (int i = H-1; i >0 ; i--) { //석순과 종유석의 크기는 H보다 작다.
// 천장에서 바닥까지 한줄로 이어진 돌(석주)은 없다는 의미.
ceil[i] += ceil[i+1];
floor[i] += floor[i+1];
}
3. 개똥벌레가 h의 높이에서 날아갈 때 만나는 석순과 종유석의 갯수를 계산하여 저장한다. 이때 최솟값을 함께 구한다.
int[] stone = new int[H+1];
int min = N+1;
for (int i = 1; i <= H ; i++) {
stone[i] = floor[i] + ceil[H-i+1];
min = Math.min(min, stone[i]);
}
마찬가지로 H가 5라고 가정했을 때,
1의 높이에서 날아간다면 floor[1]의 갯수만큼 석순을 만나고 ceil[5]의 갯수만큼 종유석을 만날것이다.
3의 높이에서 날아간다면 floor[3]의 갯수만큼의 석순을, ceil[3]의 갯수만큼의 종유셕을 만날 것이다.
4. 최솟값과 같은 값을 count한다.
최종 소스코드
package BJ_Practice;
import java.io.*;
import java.util.*;
public class BJ_G5_3020_개똥벌레 {
static int N,H;
static int[] ceil,floor;
static StringTokenizer st;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throws IOException {
BufferedReader br = new BufferedReader(new InputStreamReader(System.in));
StringBuilder sb = new StringBuilder();
st = new StringTokenizer(br.readLine());
N = Integer.parseInt(st.nextToken());
H = Integer.parseInt(st.nextToken());
ceil= new int[H+1];
floor = new int[H+1];
for (int i = 0; i < N/2 ; i++) {
floor[Integer.parseInt(br.readLine())]++;
ceil[Integer.parseInt(br.readLine())]++;
}
for (int i = H-1; i >0 ; i--) {
ceil[i] += ceil[i+1];
floor[i] += floor[i+1];
}
int[] stone = new int[H+1];
int min = N+1;
for (int i = 1; i <= H ; i++) {
stone[i] = floor[i] + ceil[H-i+1];
min = Math.min(min, stone[i]);
}
int cnt = 0;
for (int i = 1; i <= H ; i++) {
if(stone[i] == min)
cnt++;
}
System.out.println(min + " " + cnt);
}
}
'Algorithm > BaekJo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백준] 11084번 - 나이트의 염탐 (java) (0) | 2021.12.12 |
---|---|
[백준] 2015번 - 수들의 합4 (java) (0) | 2021.10.03 |
[백준] 17143번 - 낚시왕 (java) (0) | 2021.10.02 |
[백준] 14503번 - 로봇 청소기 (java) (0) | 2021.09.25 |
[백준] 20058번 - 마법사 상어와 파이어스톰 (java) (0) | 2021.09.24 |